크리스틴 하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틴 하킴은 1956년 잠비에서 태어나 요그야카르타에서 성장한 인도네시아의 배우이다. 1973년 영화 '첫사랑'으로 데뷔하여 시트라 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배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초트 자 디엔'과 '임페티고르' 등의 영화에 출연하며 인도네시아 영화계에서 중요한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교육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자폐증 인식 개선을 위한 사회 운동을 펼치며, 유네스코 친선 대사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계 인도네시아인 - 무아마르 Z.A.
무아마르 Z.A.는 1955년 인도네시아 출생으로, 국제 꾸란 낭송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했으며, 브루나이 등에서 꾸란 낭송을 한 인도네시아 대표 낭송가이다.
크리스틴 하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헤를리나 크리스틴 나탈리아 하킴 |
출생일 | 1956년 12월 25일 |
출생지 | 인도네시아 잠비주 쿠알라 퉁칼 |
직업 | 배우, 프로듀서, 사회운동가 |
활동 기간 | 1973년–현재 |
배우자 | Jeroen Lezer (2000년) |
자녀 | 1명 |
수상 | 9회의 시트라상 수상 |
대표 작품 | 첫사랑 폭풍은 지나갈 것이다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
2. 생애
크리스틴 하킴은 1956년 12월 25일 잠비의 쿠알라 퉁칼에서 태어나 요그야카르타에서 성장했다. 다양한 혈통을 가진 가정 환경으로 인해 어린 시절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도 했다.[1][2] 독실한 무슬림이었지만, 크리스마스에 태어났기 때문에 '크리스틴'과 '나탈리아'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3]
원래 배우가 될 생각은 없었지만, 1973년 테구 카르야 감독의 영화 ''첫사랑''에 캐스팅되면서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카윈 라리'', ''Sesuatu yang Indah''(''아름다운 것'') 등 여러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경험을 쌓았다. 1983년 낭트 3대륙 영화제에서 상영된 14편의 인도네시아 영화 중 절반에 출연했고,[1] 2년 후 칸 영화제 참관인이 되었다. 1989년에는 에로스 자로트 감독의 ''조드 니엔''이 칸 영화제 최우수 국제 영화상을 수상했다.[3]
2000년대에는 프로듀서로도 활동하며 ''베갯잎 위 잎'', ''속삭이는 모래'' 등의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2002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고,[1] 2010년에는 할리우드 영화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 출연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배경
크리스틴 하킴은 1956년 12월 25일 잠비 주 쿠알라 퉁칼에서 태어나 요그야카르타에서 성장했다. 어머니는 오마 누르하디아티이고 아버지는 하킴 타하르였다.[1][2] 파당, 아체, 반텐, 페칼롱안, 마디운, 중동 등 다양한 혈통을 가지고 있어, 어린 시절과 십 대 시절에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기도 했다. 독실한 무슬림 가정에서 자랐지만,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인연으로 부모는 그녀에게 크리스틴과 나탈리아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3]원래 하킴은 건축가나 심리학자를 꿈꿨고, 배우가 될 생각은 없었다. 하지만 1973년, 친구를 돕기 위해 찍었던 모델 사진이 잡지에 실리면서 테구 카르야 감독의 영화 ''첫사랑''에 캐스팅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연기에 대한 열정은 없었지만, 카르야 감독의 따뜻하고 친절한 모습에 무례하게 대할 수 없어 결국 출연을 결심하게 되었다. 그녀는 훗날 카르야 감독을 "어부처럼 천천히, 천천히 [그녀를] 낚아챘다"라고 표현하며, 촬영 후 연기를 그만둘 생각까지 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첫사랑''에서의 연기로 시트라 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 인생을 계속 이어나가게 되었다.
2. 2. 연기 경력
크리스틴 하킴은 원래 건축가나 심리학자를 꿈꿨으나, 1973년 테구 카르야 감독의 영화 ''첫사랑''에 캐스팅되면서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1] 친구를 돕기 위해 모델 활동을 하던 중 잡지에 실린 사진을 본 카르야 감독의 제안을 거절하지 못하고 출연하게 된 것이다. 이 영화로 시트라 상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연기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1]이후 카르야 감독의 ''카윈 라리''(1974)에 출연하며 연기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1976년에는 Wim Umboh 감독의 ''Sesuatu yang Indah''(''아름다운 것'')에 출연하여 처음으로 자신의 목소리로 연기했다. 이전에는 목소리가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 다른 배우가 더빙했었다.[2]
하킴은 1988년 에로스 자로트 감독의 영화 ''조드 니엔''에서 아체의 여성 지도자 컷 니악 디엔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최우수 국제 영화상을 받았고,[3] 하킴은 이 역할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답을 찾았다고 밝혔다.[1]
2000년대 들어서는 프로듀서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98년 ''베갯잎 위 잎''을 시작으로, 2001년에는 ''속삭이는 모래''를 공동 제작하고 주연을 맡았다.[2] 2010년에는 줄리아 로버츠 주연의 할리우드 영화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 출연하기도 했다.[1]
2019년에는 조코 안와르 감독의 공포 영화 ''임페티고르''에 출연하여 시트라 상 여우조연상을 받았다.[4]
하킴은 인도네시아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시트라 상을 수상했다. 아래는 수상 내역이다.
상 | 연도 | 부문 | 작품 | 결과 |
---|---|---|---|---|
인도네시아 영화제 | 1974 | 시트라상 여우주연상 | 첫사랑 | 수상 |
1977 | 아름다운 것 | 수상 | ||
1979 | 거지와 삼륜차꾼 | 수상 | ||
1983 | 장막 뒤에서 | 수상 | ||
1984 | 포니라 테르피다나 | 후보 | ||
1985 | 날카로운 조약돌 | 수상 | ||
1986 | 때가 되면 | 후보 | ||
1988 | 초트 니야 디엔 | 수상 | ||
2004 | 모래 속의 속삭임 | 후보 | ||
2016 | 엄마, 날 용서해줘 | 후보 | ||
2012 | 시트라상 여우조연상 | 라야, 빛 위의 빛 | 후보 | |
2015 | 골든 스틱의 전사 | 수상 | ||
2017 | 카르티니 | 수상 | ||
2020 | 지옥의 땅 여자 | 수상 | ||
2023 | 사라 | 후보 |
2. 2. 1. 주요 작품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73 | 첫사랑 | 시트라 상 여우주연상 수상 | |
1974 | 무신론자 | ||
1974 | 결혼 침대 | ||
1975 | 도주 | ||
1976 | 현대적인 아이 둘 | ||
1976 | 눈물을 닦아내세요 | ||
1977 | 아름다운 것 | ||
1977 | 폭풍은 반드시 지나간다 | ||
1977 | 방랑자들 | ||
1978 | 거지와 인력거꾼 | ||
1980 | Siti Pertiwi 박사 | ||
1982 | 마음처럼 하얗고 입술처럼 빨갛게 | ||
1982 | 스크린 뒤에서 | ||
1984 | 유죄 판결을 받은 포니라 | ||
1984 | 날카로운 조약돌 | ||
1988 | 초트 냐 디엔 | 컷 니악 디엔 | |
1996 | 잠자는 남자 | ||
1997 | 에메랄드의 고르델 - 네덜란드 | ||
1998 | 베개 위의 잎 | 제작 참여 | |
2001 | 속삭이는 모래 | 제작 참여 | |
2004 | 레당 산의 공주 | ||
2009 | 메란타우 | ||
2009 | 자밀라와 대통령 | ||
2010 |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 웨이안 | |
2013 | 상 키아이 | ||
2014 | 황금 지팡이 전사 | ||
2014 | 여행 | 단편 영화 | |
2014 | 구루 방사 호스 초크로아미노토 | ||
2016 | 엄마, 용서해줘 | ||
2016 | 보벤 디구엘 | ||
2017 | 카르티니 | ||
2017 | 시신 메이크업 아티스트 | ||
2018 | 빗속에서 춤을 | ||
2019 | 임페티고르 | 시트라 상 여우조연상 수상 | |
2021 | 완벽한 조화 | ||
2022 | 스리 아시 | ||
2023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 에피소드 "감염자" | |
2023 | 사라 | ||
2024 | 무덤 고문 |
2. 2. 2. 영화제 활동
하킴은 1983년 11월 낭트 3대륙 영화제에서 14편의 인도네시아 영화를 선보였는데, 그 중 절반에 출연했다.[1] 2년 후 그녀는 칸 영화제에서 참관인이 되었고, 피에르 리시엔과 협력 관계를 맺어 나중에 그녀의 영화를 칸에 가져오는 데 도움을 주었다.[2]1988년 하킴은 에로스 자로트의 영화 ''조드 니엔''에 출연, 이 영화는 1989년 칸 영화제 최우수 국제 영화상을 수상했으며,[3] ''르 세멩 드 라 크리틱''에서 상영되었다.[2]
하킴은 10년 후 칸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에서 그녀가 프로듀서로 참여한 첫 번째 작품인 ''베갯잎 위 잎''을 상영했다.[2] 2001년의 ''속삭이는 모래''는 도빌 아시아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2] 이듬해 그녀는 미셸 여와 함께 칸 영화제의 심사위원으로 임명되었다.[1] 2005년 그녀는 제7회 도빌 아시아 영화제 개막식에서 특별 헌정사를 받았다.[2]
영화제 | 연도 | 수상 | 결과 |
---|---|---|---|
낭트 3대륙 영화제 | 1983년 | 14편의 인도네시아 영화 상영, 그 중 절반에 하킴 출연 | |
칸 영화제 | 1985년 | 참관인 | |
칸 영화제 | 1989년 | 조드 니엔 최우수 국제 영화상 수상 | |
칸 영화제 | 1998년 | 베갯잎 위 잎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상영 | |
도빌 아시아 영화제 | 2001년 | 속삭이는 모래 상영 | |
칸 영화제 | 2002년 | 심사위원 | |
도빌 아시아 영화제 | 2005년 | 특별 헌정 |
2. 3. 사회 운동
2000년대 초반부터 하킴은 교육 관련 활동가로 활동했다.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아체 지역에 여러 차례 인도적 지원을 갔다.[1][2] 이후 자폐증 공교육 증진을 위한 크리스틴 하킴 재단을 설립하고, 정부에 자폐증에 대한 오해를 없애고 공립학교에서 자폐 학생 입학 거부를 "인권 침해"라고 비판했다.[3]2. 3. 1. 유네스코 친선 대사
2003년 하킴은 RCTI 및 메트로 TV와 함께 TV 프로그램 ''당신을 위한 선생님''을 시작했다.[1] 2008년, 하킴은 유네스코의 인도네시아 친선 대사로 선정되어 교육 홍보, 인도네시아 교육 개혁 추진, 동남아시아 재해 구호 프로그램 홍보 등의 활동을 했다.[2]3. 개인사
크리스틴 하킴은 1956년 12월 25일 잠비의 쿠알라 퉁칼에서 태어나 요그야카르타에서 자랐다.[1][2] 어머니는 오마 누르하디아티이고 아버지는 하킴 타하르였다. 하킴은 파당, 아체, 반텐, 페칼롱안, 마디운, 중동 등 다양한 혈통을 가지고 있어 어린 시절과 십 대 시절에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품기도 했다.[1][2] 독실한 무슬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크리스마스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그녀를 크리스틴과 나탈리아로 이름 지었다.[2] 2023년 하킴은 자신의 본명이 잠비의 외딴 지역에서 어머니의 출산을 도운 독일 선교사 의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밝혔다.[3]
2000년에는 배우이자 영화 판매 이사, 작가인 네덜란드 출신 예룬 레저와 결혼했다. 이들은 하킴의 어머니, 딸 세나와 함께 동자카르타, 치부부르에 살고 있다.[2] ''자카르타 포스트''의 브루스 에몬드는 하킴의 집을 "교외의 팽창 속에서 무성한 비밀 정원과 같다"고 묘사했다.[2]
하킴은 언론과의 사적인 이야기를 피하며 대중의 관심사가 아닌 주제에 대해서는 언급을 꺼리는 편이다. 1992년에 그녀는 "여기 기자들의 90%는 [그녀의] 영화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그녀의] 사생활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고 말하기도 했다.[2]
2009년, 하킴의 부친은 수신증과 여러 합병증으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Tanah Kusir 묘지에 묻혔다.[6]
4. 수상 경력
상 | 연도 | 부문 | 수상작 | 결과 |
---|---|---|---|---|
인도네시아 영화제 | 1974 | 시트라상 여우주연상 | 첫사랑 | 수상 |
1977 | 아름다운 것 | 수상 | ||
1979 | 거지와 삼륜차꾼 | 수상 | ||
1983 | 장막 뒤에서 | 수상 | ||
1984 | 포니라 테르피다나 | 후보 | ||
1985 | 날카로운 조약돌 | 수상 | ||
1986 | 때가 되면 | 후보 | ||
1988 | 초트 니야 디엔 | 수상 | ||
2004 | 모래 속의 속삭임 | 후보 | ||
2016 | 엄마, 날 용서해줘 | 후보 | ||
2012 | 시트라상 여우조연상 | 라야, 빛 위의 빛 | 후보 | |
2015 | 골든 스틱의 전사 | 수상 | ||
2017 | 카르티니 | 수상 | ||
2020 | 지옥의 땅 여자 | 수상 | ||
2023 | 사라 | 후보 | ||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ne Hakim di Pemakaman Ayahnya
https://www.kapanlag[...]
2023-09-27
[2]
웹사이트
Alasan Christine Hakim Mempercayakan KMN EyeCare untuk Operasi Katarak Ibunda
https://www.kompas.t[...]
2023-09-27
[3]
웹사이트
Sering Buat Salah Paham, Christine Hakim Ungkap Kisah di Balik Namanya
https://www.kompas.c[...]
2023-09-22
[4]
웹사이트
Horror movie ‘Impetigore’ wins big at FFI 2020
https://www.thejakar[...]
2022-02-08
[5]
웹사이트
Christine Hakim ramaikan Perempuan Tanah Jahanam
https://beritagar.id[...]
2019-02-27
[6]
웹사이트
Christine Hakim di Pemakaman Ayahnya
https://www.kapanlag[...]
2023-09-27
[7]
웹사이트
The Last Of Us Show Appears To Include Details On Cordyceps Virus Origin
https://www.thegamer[...]
2022-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